본문 바로가기
건강한생활

척추 협착증은 운동을 하는것이 좋을까

by 건고마 2023. 2. 2.
반응형

척추협착증으로 진단되어 통증이나 마비가 있는 상태일 경우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을지 휴식을 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게 되는데요. 운동도 지나치게 하거나 적당하지 않은 운동을 하고 있으면 척추 협착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운동하는 것이 좋은 이유

운동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크게 나누어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혈류 부족 개선

2. 근력의 저하 방지

 

이 두가지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척추협착증은 뼈나 인대 등 척추의 조직이 약하거나 추간판이 돌출하는 것으로 척주관이 좁아져 척수가 압박되면 신경에 이상이 생기고, 요통이나 발의 무감각이나 무거운 증상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당연히 환부와 그와 관련된 부위의 혈류량도 감소합니다. 혈류가 감소하게 되면 그 부위의 산소와 영양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조직이 점점 딱딱해집니다. 그래서 혈류부족 개선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근육은 혈액을 보내는 펌프의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근력이 저하하면 혈류도 저하해 대사도 저하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은 이유

척추협착증은 특징적인 증상으로 간헐성 파열이라는것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걷거나 서 있으면 엉덩이와 다리에 통증과 마비가 나타나면 앉아서 쉬는 것이 낫습니다. 통증이나 마비증상을 참으며 운동을 계속하게 되면 허리에 부담이 걸려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상 및 상태에 따른 판단

척추협착증에서도 사람에 따라 증상의 정도는 다양합니다. 

운동하는 것이 좋은 경우

-운동을 시작했을 때 통증이나 마비가 생기지만 쉬엄쉬엄 운동을 할 경우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

- 어느 정도, 긴 거리 보행이 가능할 경우

- 걷거나 운동하고 있어도 마비는 있지만, 통증이 없는 경우

 

운동을 하는 경우가 좋은 환자의 경우 운동 다음날 통증이나 마비가 강해질 경우 운동은 쉬는것이 좋습니다. 또 운동의 양이나 강도에 의해해서는 안 되는 운동도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휴식하는 것이 좋은 경우

- 짧은 거리를 걸어도 통증이나 마비가 있는 경우 

- 통증과 마비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 

- 휴식하고 있어도 통증이나 마비가 있는 경우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휴식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협착증의 추천 운동

 

가벼운 스트레칭

스트레칭은 근육이나 조직에 유연성을 붙이는 것과 동시에, 혈류도 충분히 올려 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추천하는 운동입니다. 

 

스쾃

앉은 상태로 척추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통증이나 마비가 나타나기 어려운 자세입니다. 근력상승과 함께 전신의 혈류개선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가벼운 걷기 운동

무리가 없는 정도의 걷기 운동은 추천합니다. 날씨를 확인하여 너무 춥거나 더운 날은 피하도록 합니다. 

 

수영

허리건강에 좋은 운동으로 꾸준히 하게 되면 유연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주의해야 할 운동

-요가

-필라테스

위 두 운동은 개별지도가 가능한 전문가에게 받아야 하며 혼자 하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척추협착증 환자가 피해야 할 운동

-마라톤

-근력운동

-등산

이러한 운동은 허리에 걸리는 부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요통에 근력트레이닝을 하면 개선되는 경우도 있지만 근력운동도 혼자 하게 되면 환부에 부하가 걸려 협착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척추 협착증의 경우 혈류를 개선하기 위해 운동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만 증상과 중증 정도에 따라서는 휴식이 좋은 경우도 있어 판단이 어려울 경우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척추 협착증 더 알아보기

 

척추 협착증이란?

척추협착증은 이름 그대로 척주관이라는 척추 속에 있는 신경의 길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는 질병으로 추간판 탈장의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척추 가 어긋남으로 척추관이 좁아져 협

4seasonfree.com

 

반응형

댓글